목록전체 글 (431)
mojo's B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aiD6/btrrd62keea/rMKxe9YygTf0jb2R3SrsKk/img.png)
정규화 (Normalization) ※ Normalization 데이터베이스의 가장 큰 목표는 테이블 간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는 것이다. 중복된 데이터를 만들지 않으면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DB 저장 용량 또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무결성은 무엇인가요? 데이터 무결성이란 컴퓨팅 분야에서 완전한 수명 주기를 거치며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고 보증하는 것을 가리키며 데이터베이스나 RDBMS 시스템의 중요한 기능이다. ※ Normalization의 목적 데이터의 중복을 없애면서 불필요한 데이터를 최소화시킨다. 무결성을 지키고 이상 현상을 방지한다. 테이블 구성을 논리적이고 직관적으로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확장에 용이해진다. ① 제 1정규화(1NF) 테이블 칼럼이 원자값..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LXL9/btrrirK38M9/VZl3auZ7R5IOHDYXs1Q0kK/img.png)
※ 스프링의 핵심 스프링은 자바 언어 기반의 프레임워크이다. 자바 언어의 가장 큰 특징으로 객체 지향 언어이다. 스프링은 객체 지향 언어가 가장 강력한 특징을 살려내는 프레임워크이다. 스프링은 좋은 객체 지향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레임워크이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명령어의 목록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여러 개의 독립된 단위, 즉 "객체"들의 모임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각각의 객체는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게 만들기 때문에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이 사용된다. ※ 역할과 구현을 분리 역할과 구현으로 구분하면 세상이 단순해지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Pt4I/btrrcH9sO2Q/j1wyjI55KRv9KTgoY0KYCK/img.png)
모든 것이 HTTP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ML, TEXT 를 전송한다. Image, 음성, 영상, 파일을 전송한다. JSON, XML (API) 를 전송한다.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도 대부분 HTTP를 사용한다. ※ 기반 프로토콜 TCP는 HTTP/1.1, HTTP/2 를 사용한다. UDP는 HTTP/3 를 사용한다. 현재 HTTP/1.1 을 주로 사용하며 HTTP/2, HTTP/3 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실제로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단 크롬에 이동해서 F12 를 누르고 검색창에 아무거나 입력한다. 그리고 Name 쪽에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한 후 Protocol을 누른다. 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HHdum/btrrdcz4oHI/XS2Vo0imvNhe9elxQrRTr1/img.png)
SQL injection SQL Injection 이란? 해커에 의해 조작된 SQL 쿼리문이 데이터베이스에 그대로 전달되어 비정상적인 명령을 실행시키는 공격 기법을 의미한다. ※ 공격 방법 ① 인증 우회 방법 : 보통 로그인을 할 때,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 창에 입력한다. 예를 들어서 아이디를 xyz, 비밀번호를 1234 라고 할 때, 다음과 같은 쿼리로 전송되는 것을 떠올릴 수 있다. SELECT * FROM USER WHERE ID = "xyz" AND PASSWORD = "1234"; SQL Injection 으로 공격할 때, 입력 창에 비밀번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다른 쿼리문을 함께 입력하는 것이다. 1234; DELETE * USER FROM ID = "1"; 보안이 완벽하지 않을 경우, 비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dtBd/btrrcH78WGm/88kiVcge4KfTtUT52ApI41/img.png)
URI ※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로케이터, 이름 또는 둘 다 추가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알아보도록 한다. URL ex ) foo://example.com:8042/over/there?name=ferret#nose (평소에 보던 URL) URN ex ) animal, ferret, nose, ... (이름 그 자체) ※ URI Uniform :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 Resource : 자원, URI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제한 x) Identifier : 다른 항목과 구분하는데 필요한 정보 ※ URL, URN URL - Locator : 리소스가 있는 위치를 지정 URN - Name : 리소스에 이름을 부여 위치는 변할 수 있지만, 이름은 변하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4UMv/btrq9WkFE2b/OBIsYTsv9CEhUXKsxkeCj1/img.png)
인터넷 통신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무언갈 호출할 때 인터넷 내(복잡한 인터넷 망)에서 수많은 노드들을 통과하여 서버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IP(인터넷 프로토콜)을 알아야 한다. IP ※ IP, 인터넷 프로토콜 역할 지정한 IP 주소(IP Address)에 데이터를 전달한다. 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IP 패킷 정보로는 출발지 IP, 목적지 IP, 기타... 등이 있으며 전송 데이터도 포함된다. 이러한 패킷을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전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그렇다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 IP 프로토콜의 한계 1. 비연결성 :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을 전송한다. 2. 비신뢰..